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이용수 216

영문명
Pre-service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Value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ing Classe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진아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195~2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389명의 예비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키워드 빈도 수, 중심성 지수 및 바이그램을 추출하고 주요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학생’이 인식구조 가운데에 위치하며 ‘학생’, ‘수업’, ‘교육’, ‘통합교육’의 단어를 기반으로 관계와 연결 강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 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키워드들과 인식 변화-개선, 장애-특성/유형-이해, 긍정적-영향, 장애 학생-일반 학생-상호작용, 실제적-일반교사-역할-교육 방법 등의 단어들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예비 일반교사가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갖는 교육적 가치와 실천은 크게 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개선, 다양한 장애 학생의 특성과 유형 이해,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 일반학급 내에서 장애 학생의 사회적 통합,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일반교사의 역할과 교육 방법의 학습 기회를 주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특수교육 교직과목 교수자들에게 교직 수업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수업계획 등의 실천적 방향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general teachers on the educational value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teaching.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89 pre-service general teachers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s. Keyword frequency, centrality index, and bigram were extracted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o the collected data and the main results were visualized.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gnitive structure and formed relationship and connection strength based on the words of ‘students’, ‘classes’,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keywords that play a major role in the network structure and words such as recognition change-improvement, disability-characteristic/type-understanding, positive-impact, disability student-general student-interaction, practical-general teacher-role-education method we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and influenced. Therefore, the educational value and practice of the pre-service general teacher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ing class largely recognized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various disabled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general teacher to the integrated educati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students in the general class, The role of the general teacher and the learning opportunity of the education method for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ractical directions such as educational meanings and lesson plans of teaching profession class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univers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아. (2024).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41 (2), 195-218

MLA

김진아.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41.2(2024): 195-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