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교육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85
- 영문명
- A Study Trend Analysis of Educational Guidance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채종금 이인회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219~2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1996년부터 2023년까지 수행된 교육지도성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학술정보서비스(RISS)에 게재된 교육지도성 관련 국내 학술논문 중에서 KCI 등재 후보 이상, 학술지명, 제목, 주제어, 초록이 있는 363편의 서지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록의 키워드 빈도는 교사, 학교, 리더십, 연구, 교장 등의 순으로 드러났다. 토픽모델링은 R 프로그램의 LDA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토픽명은 ‘학교조직효과성을 위한 교장, 교감지도성’, ‘학교문화 형성을 위한 교장지도성’, ‘교사의 전문성 지원을 위한 교장지도성’,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장, 교사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를 위한 교장, 교감지도성’,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교사지도성’으로 정의되었다. 교육지도성은 학교조직 구성원에 따라 발휘되고 상호작용과 협력으로 교육의 효과를 이루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향후 교육지도성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educational leadership for 28 years from 1996 to 2023 using text mining analysis techniques, and searching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363 bibliographic information with KCI registration candidates or higher, academic journals, titles, subject words, and abstracts among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educational leadership published in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RI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requency of keywords in the abstract was revealed in the order of teacher, school, leadership, research, and principal. Topic modeling was analyzed using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method of the R program. The topic names were defined as writing th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leadership for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rincipal leadership for school culture formation, the principal leadership for teacher professional support, the principal and teacher leadership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th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leadership for teacher empowerment, teacher leadership through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educational leadership was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membe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the effect of education was achieved through interaction and cooperation. By synthesizing the above,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al guidanc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승진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 교사 자신으로의 전환: 자기연구를 통한 성찰 대상과 목적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역사 강사의 직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탐색
-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교육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및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미술교육방법론 강의 개선 : 미술교육 쟁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 분석을 통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