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109
- 영문명
- The effects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competency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for guiding career and academic design: Focusing on self-efficacy on career guidance and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혜정 임은미 이성자 김순미 유아신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137~1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시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간략한 설명 후 J지역 일반계 고등학교에 신청을 받아 13개 고등학교 현장으로 찾아가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수 참여 교사 총 227명 중 사전-사후 검사에 모두 응답한 183명의 자료에 대해 사전-사후 대응 표본 t 검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진로지도 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프로세스 자신감, 평가능력, 영향력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성별, 경력, 연령대, 학교 위치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성별, 경력, 연령대, 학교 위치가 달라져도 이러한 만족도는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지도 자기효능감의 사후-사전 검사점수의 차이와 프로그램 만족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진로지도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고, 참여 교사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후속 연구에서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competency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for guiding career and academic desig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a three-session competency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for guiding career and academic design was developed. Through a brief description of the program to a general high school in J area, a program to visit 13 general high school sites voluntarily applied was operated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183 out of total 227 participating teachers responded to both pre- and post-test an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183 teachers. The results of the pre-post paired sample t-tes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verall self-efficacy on career guidance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as well as in the sub-factors of process confidence, evaluative ability, and influence.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across all genders, work experience, age groups, and school locations. Also,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was high,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 work experience, age group, or school location.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career guidance self-efficacy on career guidance post-test score minus pre-test score and program satisfaction.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competency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for guiding career and academic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effective in enhancing teachers' self-efficacy on career guidance, and the participating teacher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승진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 교사 자신으로의 전환: 자기연구를 통한 성찰 대상과 목적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역사 강사의 직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탐색
-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교육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및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미술교육방법론 강의 개선 : 미술교육 쟁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 분석을 통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