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탐색
이용수 205
- 영문명
- Exploring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류성창 이재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107~1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층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23년 10월 18일부터 2023년 11월 7일까지 충청남도 43개 초등학교와 해당 학교에 재직 중인 46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교사 수준과 학교 수준의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SPSS 26.0과 HLM 8.2 프로그램으로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 수준의 배경변인 중 교사의 성별이 여성일수록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높았다. 둘째, 교사 수준 과정변인인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을 정적으로 예측했고, 교사효능감, 전문직관, 성직관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부적으로 예측했다. 셋째, 교사의 과정변인이 투입되었을 때 교육전문직을 경험한 학교장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넷째, 학교 수준 과정변인 중 업무량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다섯째, 학교장의 민주적 리더십, 역할갈등,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을 예측하지 못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from October 18, 2023, to November 7, 2023, targeting 467 teachers employed in 43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eacher-level and school-level factors,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HLM 8.2 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among the teacher-level background variables,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burnout compared to male teachers. Second, among the teacher-level process variables, emotional labor statically predicted psychological burnout. Additionally, teacher self-efficacy, professionalism, and vocational commitment inversely predicte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Third, when teacher process variables were included, experiencing educational professionalism by the school principal positively predicte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ourth, among the school-level process variables, workload statically predicted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Fifth, democratic leadership of the school principal,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did not predict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psychological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승진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 교사 자신으로의 전환: 자기연구를 통한 성찰 대상과 목적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역사 강사의 직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탐색
-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교육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및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미술교육방법론 강의 개선 : 미술교육 쟁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 분석을 통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