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144

영문명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roportion of Teacher Administrative Work on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소정 윤혜원 이현주 주영효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83~10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2021년 중학교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준 교사 개인 변인에서 연령과 교사효능감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직경력, 담임교사 여부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수준 학교 변인으로 학교 규모, 민주적 학교문화는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 규모와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학교 행정 업무 시간은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업무 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의 문제가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이 교수·학습보다 행정 중심의 문화를 갖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으로 행정 중심적인 학교 조직구조와 문화, 영웅적인 교장 리더십의 변화, OECD 국가 평균 이하로 교사 학교 행정업무 비중의 감축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portion of teacher administrative work on the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n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iddle school data in the first cycle of the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administrative work on the revitalization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irst, age and teacher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t the first-level individual variables., and teaching experience and homeroom teacher status have a negative effect learning community. Second, school size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second-level schoo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time spent by teachers on school administrative work exhibited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se analytical results empirically indicate that the problem of lack of operation and participation time due to excessive work hinders the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also suggests that school organizations have a culture centered on administration rather than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centered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heroic principal leadership, and reduction of the proportion of teachers' school administrative work below the OECD country average as ways to revitaliz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Korea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소정,윤혜원,이현주,주영효. (2024).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1 (2), 83-105

MLA

임소정,윤혜원,이현주,주영효.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1.2(2024): 83-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