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이용수 157
- 영문명
- Analysis on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burnout using LASSO reg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솔비 신안나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의 1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과 LASSO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원분산분석 결과, 경력이 20년~25년인 집단의 소진 평균은 신규 교사와 5년~15년 경력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1). 둘째, LASSO 회귀분석 결과, 전체 집단에서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생, 동료, 학부모와의 관계 갈등이 가장 영향력이 컸다. 셋째, 집단별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교사 자율성의 제한,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나 학교의 요구가, 중학교에서는 지능에 대한 고정된 신념, 성적에 기반한 교사 평가, 학생지도 및 상담에 대한 부담감이 소진을 야기하였다. 경력별로 살펴보면 신규 집단과 20년~25년 집단에서 학부모와의 관계 갈등이 소진을 야기하는 주요 변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사 소진 예방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정책적 제언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burnout using the teacher panel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20 (SELS 2020). Two-way ANOVA and LASSO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considering both school grade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OVA revealed that both the main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gra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level of burnout among teachers with 20-25 years of experience was lower compared to that among new teachers and those with 5-15 years of experience (p<.001).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ASSO regression, relationship conflicts with students, colleagues, and pare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at had positive effects on burnout. Third, when analyzed by school grade, constraints on teacher autonomy, parental interest or school demands regarding teaching led to teacher burnout in elementary schools, while fixed beliefs about intelligence, performance-based teacher evaluation, and the burden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triggered burnout in middle schools. In the analysis by teaching experience, conflict with parents was a major variable in the novice group and the 20-25 years experienc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ng teacher burnout a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승진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 교사 자신으로의 전환: 자기연구를 통한 성찰 대상과 목적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역사 강사의 직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탐색
-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교육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및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미술교육방법론 강의 개선 : 미술교육 쟁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 분석을 통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