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이용수 197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Support Demand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Futuristic Evalu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임태원 이형빈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297~32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형 평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평가의 주된 실행자인 중등 교사의 인식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451명의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와 13명의 교육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행평가 및 서·논술형 평가 비중 확대에 관하여 보통 수준의 동의 정도를 보였다. 심층 면담에서는 평가 비중에 관한 논의보다, 현재 수준에서 평가의 내실화를 기하는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미래형 평가 운영에서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물리적 시간 확보와 공정성 시비를 주된 어려움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는 방안으로는 교사 업무 경감이나 채점 시스템 개발 등 직접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미래형 평가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서 서·논술형 평가 채점 지원 프로그램과 평가 자료의 개발·보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채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에 관해서는 현재 지능정보기술의 수준이 충분한지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도 확인되었다. 끝으로, 교사들은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나아가 교사가 장학의 주체로서 개발한 자료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종합하여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효성 높은 정책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and support demand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time when a paradigm shift towards futuristic evaluation is required.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which a total of 451 teachers participated, and the interviews with 13 education official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a moderate level of agreement regarding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essay-type evaluation. Interviews confirmed the recognition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evaluation at the current level because the proportion of the evaluation is still high. Second, teachers expected the main difficulties to secure time for essay-type evaluations and to dispute fairnes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futuristic evalu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direct support such as reducing teacher work or developing a scoring system is required.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written and essay-type evaluation scoring support programs and evaluation materials, were important as support to form the foundation for futuristic evaluation. However,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scoring support programs, skeptical opinions were also confirmed as to whether the current level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was possible. Finally,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to operate training to improve teachers' evaluation expertise, and further proposed the implementation of a platform that allows teachers to share and collaborate on materials of evaluati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synthesize and present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futuristic evaluation, and to suggest highly effective policies based on conclus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태원,이형빈. (2024).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1 (2), 297-322

MLA

임태원,이형빈.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1.2(2024): 297-3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