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5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ren teachers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장신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359~39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13개의 하위내용과 62개의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문항 내용 적절성을 검증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최종 5개의 구성요인과 33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최종 문항을 활용한 본 검사를 통해 문항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문항양호도 분석결과, 모든 문항이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였으며 문항변별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의 모형적합도(RMSEA .059)가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각 구성요인의 집중타당도의 표준화 계수(.636 이상)와 평균분산추출(AVE) 값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판별타당도 구성 요인 간의 공분산 상관관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구성요인의 상관이 높게 나타나 구성요인 간의 다중공선성을 검증하여 독립적임을 확인하였다.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867 이상이며,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64로 매우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는 중국 다양한 양성 과정의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n China an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13 subscales and 62 preliminary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by expert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inal five components and 33 items.
The final item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rofessional identity Scale was used to test the item favorabi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item validity analysis showed that all items met the assumption of normality and showed good item discrimin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verify validity, and the model fit of the scale (RMSEA .059) was found to be adequate. In addition,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636 or higher)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values of each construct's convergent validity were checked and verified through the covarianc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riminant validity components. Due to the high correlation of the constructs, multicollinearity among the constructs was tested to confirm their independence. The factor reliability of the scale is more than .867, and the total item reliability is .964, which is very high.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in Chin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