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이용수 185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ir demand for visiting education by health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정원 최성진 장인순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285~3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유치원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S시의 현직 유치원 교사 151명으로서, 이들은 온라인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었고, 교수자는 대부분 교사였다. 하지만 이들은 감염병에 대한 전문지식의 부족, 활동과 놀이 지원 자료 부족 등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교육 내용으로는 ‘감염예방의 방법과 활동’이 제일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감염예방 방법과 활동’,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은 만 3세부터 적합하지만, ‘감염과 면역의 원리’는 어렵다고 인식했다. 또한 감염예방교육과 관련된 가정통신문, 카드뉴스 및 전문가 강연의 형태로 가정연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보건교사 방문을 통한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이 대부분 필요하다고 했으며, 보건교사 방문교육 사업에 참여할 의사도 매우 높았다. 방문교육 집단 활동 시간은 30분 내외가 바람직하고, 수업과 함께 관련 활동과 놀이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보건교사 방문교육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kindergarten health education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kindergarten's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health teachers' visiting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1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kindergarten in ‘S’ city,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Findings revealed that most of them had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and most of the instructors were themselves. Their difficulties were the lack of expertise in infectious diseases and the lack of activities and play support materials. They responded that ‘methods and activities of infection prevention’ are the most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 ‘Infection prevention methods and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is suitable from the age of 3, In addition, home support activities are required, and Home letters, card news, and expert lectures are preferred. Mostly, they need early childhoo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visited by health teachers, and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projects. They responded that group activity for visiting health teachers is preferably around 30 minutes, and related activities and plays are required along with th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projects visited by health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