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이용수 82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FGI analysis of borderline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인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5~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경계선 유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7인을 대상으로 어떤 유아를 경계선 유아로 인식하고,경계선 유아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은 무엇인지, 그리고 경계선 유아의 원만한 유치원 적응을 돕는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FGI(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계선 유아에 대한 함의로 유아교사는 ‘참을 수 없는 애매모호한 유아’, ‘소통이 전혀 되지 않는 유아’, ‘사회적 관계 맺기가 어려운 유아’를 경계선 유아로 생각하였다. 둘째 경계선 유아에 대한 필요조건은 교사의 포기하지 않는 마음 ‘보호자와의 소통과 협력’, ‘유치원 내부 및 외부의 지원 체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계선 유아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의미를 이해하여 유아의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borderline infants. To this end,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nalyzed using FGI (Focus Group Interview) to identify which infants are recognized as borderline infants, what difficulties they have in their relationship with borderline infants, and what they think are the ways to help borderline infants adjust to kindergarten smoothl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implications for borderline infants,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unbearable ambiguous infants’, ‘infants who cannot communicate at all’, and ‘infants who have difficulty establishing social relationships’ as borderline infants. Second,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borderline infants were ‘the teacher's ungiving mi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guardians’, and ‘support systems inside and outside kindergart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find ways to support young children's adaptation to kindergarten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teach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guiding borderline infants in the kindergarten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