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이용수 120
- 영문명
- Reality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l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mands fo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남연 김명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147~1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그리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활용 경험에 비해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인공지능을 ‘인간과 유사한 사고 혹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 에 대한 긍정적 인식보다 부정적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고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공지능을 활용 한 놀이 지원 능력 향상을 목표로 전문성 있는 교수자가 미래 사회 변화와 더불어 놀이를 통한 인공지능 교육 사례에 대해 가르쳐줄 것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emands for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4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ir experi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average, and they understoo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computer system that can think similar to humans.’ In addition, the negativ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higher than the positive perception, and its influence on oneself was at an average level. Second,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ly recognized. Additionally,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ability to support pla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fessional professors were requested to teach about future social changes and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pl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bject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