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Exploring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happiness: Focused on concept mapping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윤지 오선미 이윤수 이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307~33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립유치원 교사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초점 질문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생각을 진술하도록 하고, 연구자가 정리한 진술문을 연구 참여자가 다시 범주화해 중요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이를 다차원 척도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은 최종 50개의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하여 [유아-교사], [교사 복지-교사 전문성]의 2개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최종 진술문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와 함께하는 행복’, ‘교직 만족감에서 오는 행복’, ‘학부모와 함께하는 행복’, ‘원장(감) 및 동료 교사와 함께하는 행복’, ‘안녕과 균형에 서 오는 행복’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별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군집 5인 ‘안녕과 균형에서 오는 행복’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고, 진술문별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상여금을 받을 때’와 ‘연휴가 길 때’ 등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사립유치원교사, 행복, 개념도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For this purpose, 14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ted their thoughts on the focus question. Then, the statements were organized by the process of integrating and deleting, and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categorize them and evaluate their impor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by 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irstly, the final 50 statements were created for the recognition of happines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divided into following ‘twodimensions’ ‘early childhood-teacher’ and ‘teacher-welfare and thecher-expertise’.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on the final statements, it was classified into five clusters: ‘happiness with young children’, ‘happiness from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ofession’, ‘happiness with early childhood's parents’, ‘happiness with director and fellow teachers’, and ‘happiness from well-being and balance’.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each cluster, cluster 5, ‘happiness from well-being and balance’,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when receiving bonuses’ and ‘when holidays are long’ showed high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employ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specific measure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