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이용수 146
- 영문명
- Changes in fertility under work-life balance policies and decentralization: A focus on OECD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수연 손종민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335~3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사회 기본계획에서 일생활균형정책은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회를 지향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역상생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일생활균형정책의 특징과 국가별 지방(재정)분권의 정도에 따른 출산율과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OECD와 국제휴가정책 및 연구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살펴본 결과, 출산휴가, 육아휴직과 출산율과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출산휴가기간은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여성의 육아휴직은 무급과 유급에 상관없이 출산율에 부(-)의 방향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지방분권화와 출산율의 상관관계에서는 지방정부가 더 많은 재정적 자율권을 가질수록 출산율이 높아 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회귀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자율권과 재량권을 통해서 육아휴직기간과 급여수준 조합의 자율성 증진, 산모출산휴가의 기간 및 경제적 지원 강화를 하는 방향으로 정책 시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 및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OECD 35개 회원국에 대하여 일생활균형정책 중 핵심정책인 휴가정책의 특징과 기본요소, 지방분권화 정도가 출산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주양육자와 영유아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궁극적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Korea's Basic Plan for a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the work-life balance policy aims to create a society that works together and takes care of each other, and seeks to promote regional coexistence due to demographic chang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work-life balance policies and fertility rates in OECD memb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iscal decentralization. Based on data provided by the OECD and the International Network on Leave Policy and Research, we find that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ertility. Maternity leave dur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fertility, while women's parental leave, both unpaid and paid, is negatively related to fert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ralization and fertility shows that the more fiscal autonomy local governments have, the higher the fertility r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autonomy in the combination of parental leave duration and salary level through the autonomy and discre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strengthening the duration of maternity leave and economic suppor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basic elements of leave policies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which are key work-life balance policies, and how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affects fertility rates in 35 OECD countries,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not only parents but also infants and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