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71
- 영문명
- The effect of father's empathy abilit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영녀 신현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의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반 아버지 54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 검증의 유의성 확보를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버지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공감능력과 가족건강성,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가족건강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의 공감능력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힐 수 있었다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 아버지의 양육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mpathy ability and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49 fathers of children attending a public daycare center in G-si,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ensure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verifica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empathy ability and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the empathy ability and family strength, and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strength. Second, family strength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father's empathy ability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aluable in that they were able to reveal that the father's empathy ability and family strength ar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and support is provided to improve fathers' parenting capabilities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It is significant that it suggests that a solution i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