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이용수 152
- 영문명
- Exploring the practical experience of digital educatio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소연 최이수 오채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1호, 257~2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 2명과 초등학교 교사 2명과 개별 면담, 집단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질적 연구 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는 교육과정을 중심에 두고 자신의 위치에서 디지털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는 각자 다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디지털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였지만, 어린이의 경험에 귀 기울이며 교육의 내용과 교수법을 재구성하여 디지털 교육을 실천하고 있음은 동일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는 어린이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는 디지털 교육 실천 시 어린이들이 마주할 수 있는 안전 문제에 중심을 두고 안전 관련 문제 상황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는 반면, 초등학교 교사는 디지털 공간 속에서의 안전과 더불어 윤리적 문제에 중심을 두고 디지털 시민으로서의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교육의 원활한 연계를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속에 나타난 다름에서 비롯되는 강점을 찾고, 어린이의 경험과 삶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한 교육적 접근을 가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experience of digital 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is end, two kindergarten teachers an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individual and group meeting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transcribed after recording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practicing digital education in their own locations, focusing on the curriculum.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nned and implemented digital education around different curricula, but it was the same that they listened to their children's experiences, reconstructed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d digital educ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known to practice digital education so that children can think critically. Kindergarten teachers emphasized critical thinking in safety-related situations, focusing on safety issues that children can face when practicing digital education,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hasized critical thinking as digital citizens focusing on safety and ethical issues. Based on these results, for the smooth connection of digital education conducted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t was discussed that the same educational approach centered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lives should be foun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립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육 실천 경험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한 유아 텃밭활동 프로그램 개발
- 중국 예비유아교사 직업정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일생활균형정책과 지방분권화에 따른 출산율의 변화: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유아 감염병 예방교육 현황과 보건교사 방문교육에 대한 요구
- 유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문제행동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유아 쓰기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온라인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 간 관계
- 아버지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누리과정 연계 언플러그드 코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 공립유치원 교사의 발달단계가 승진욕구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FGI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