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이용수 100
- 영문명
- Study on University English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박은영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231~2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영어학습을 위해 인공지능 영어채팅을 실시하기 위하여 적합한 영어채팅을 알아보고, 과업을 시행한 후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및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3년 2학기 ‘미디어활용 영어학습’ 수업을 듣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미추쿠와 레플리카 인공지능채팅을 채택하여 과업을 시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짝과의 영어채팅도 중간에 병행하면서, 인공지능채팅과 인간과의 채팅과의 차이점 등을 경험하였다. 과업을 마친 후에는 구두질문 또는 설문지를 통하여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흥미도, 영어능력 향상도,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언제 어디서나 대화할 수 있는 점 등을 장점으로 꼽았다. 수업시간에 영어표현을 학습한 이후에 인공지능챗봇과 연습을하면 더 효과가 크겠다는 제안들이 있어,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수업과 병행하여 이어지는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인공지능과 협업하는 4차혁명시대에 향후에도 이러한 도구를 잘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ppropriate English chats to conduc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nglish chats for college students during English learning and to obtain their respons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fter performing tasks. To this end, the task was implemented by adopting Michuku and Replica artificial intelligence chat for learners opting the “English Learning Using Media”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Learners experienced differences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 and human chat while also chatting in English with their mates. After completing the task, responses were examined through oral questions or questionnaires.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to interest, improvement in English skills, and sustainability, and cite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ytime and anywhere as an advantage. Practic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after learning English expression in class was suggested to be more effective; therefore, both were desirable to continue in parallel for sustainability. We hope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in collab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on ways to efficiently use these tool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인공지능 기술과 챗봇
Ⅲ. 연구 방법
Ⅳ. 결과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