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95
-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Volunteer Reserve Forces 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강용구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149~1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원예비군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통해 민간자산의 자발적인 참여와 효과적인 활용 여부는 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당면한 병역자원 감소와 예비군자원 급감 등 후방지역작전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병역의무를 마친 예비역과 전문자격을 보유한 민간인력 또는 단체와 여성을 지원예비군부대로 편성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제도, 즉 지원예비군 제도의 발전이 필요하다. 연구를 위해 국내·외 민간분야의 군사적 활용 사례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지원예비군 제도의 문제점분석과 제도발전 필요성을 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지원예비군 편성 개념 재설정, 둘째, 위기유형별 지원예비군 운용개념과 지역방위작전 간 활용 가능한 민간 전문자격과 조직 판단, 셋째, 지원자 확대 및 유인 대책 강구, 넷째, 지원예비군 교육훈련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원예비군은 유사시 초동조치, 감시정찰, 예비군 작전지속지원 임무를 수행하고, 특히 전시에는 예비군지역대 또는 예비군중대에 편성되어 지역방위작전의 핵심전력으로활용한다. 평시에는 재해재난 시 현장 확인, 이재민 구조와 구호, 복구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예비군의 모습을 정립하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Korea’s Volunteer Reserve Forces system and suggest development plan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 effective use of private assets through the Russia-Ukraine War and the Israel-Hamas War haves been shown to contribute to victory or defeat in war.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the rear area operations, such as a decrease in military service resources and a sharp drop in reserve forces resources, Korea needs to develop a system that effectively utilizes the civilian workforce or organizations wit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such as reservists who have completed military service and women, in volunteer reserve unit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concept of organizing volunteer reserve forces; second, determines the operation of volunteer reserve forces by crisis type, with consideration of privat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organizations that can be used between regions in defense operations; third, proposes measures to expand membership and attract applicants; and fourth,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volunteer reserve forces. In case of emergency, volunteer reserve forces should perform initial actions, conduct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and provide continuous support for reserve forces oper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법적 근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국내·외 사례 고찰
Ⅳ. 현 지원예비군 제도 문제점 및 제도발전 필요성
Ⅴ. 지원예비군 제도 종합적인 발전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