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이용수 277
- 영문명
- Exploring Key Factors for Developing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 Performance Indicators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안기덕 이세형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112~13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년 이후 동중심실천에 기초한 종합사회복지관 개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역 및 기관의특성을 반영한 지역밀착형 복지관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지역 및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밀착형 복지관의 확대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회복지관 운영 모델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각 모델의 적정성 및 효과성 등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특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의 전략 수립과 성과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지표들을 통하여 실질적인 기능강화와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유형에 따른 핵심운영 요인들을 탐색하여 기관 운영의 전략 및 목표를 설정하는데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현장에서 중요 기능을 담당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의 발전적인 미래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reorganization of neighborhood-centered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after 2015, community-based welfare center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 and institution expanded,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social welfare center operation models. However, a detailed review of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each model has not been conducted. Accordingly,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s, this study seeks ways to strengthen the practical functions and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such models through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the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s. In particular, we explore the core opera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center and propose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set strategies and goals for the organization's oper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Ⅲ. 성과지표 설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