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이용수 63
- 영문명
- Exploring the Utility of Extending the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황성훈 박경진 이정미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90~111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침투 사고는 보편적이지만,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면 다양한 정신병리를 유발할 수 있다.
침투 사고의 통제 방략으로 처벌, 걱정, 주의분산, 사회적 통제, 재평가 등을 측정하는 도구가사고 통제 질문지(Thought Control Questionnaire: TCQ)인데, 본 연구는 TCQ의 측정범위를넓히기 위해 탈중심화를 추가하여 확장하고자 했다. 사이버대생 582명(표집 A 344명, B 58명, C 180명)에게 TCQ 확장판, 인지적 융합 척도(CFQ), 5요인 마음챙김 척도(FFMQ), 우울 척도(CES-D), 불안척도(SAS), 파두아 강박 질문지(PI) 등을 실시했다. 표집 A에서 TCQ 확장판에 대해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결과, 기존 5요인에 더해서 탈중심화가 분리되는 6 요인 구조를 보여서 구성개념의 적절성이 지지되었다. 표집 B에서 탈중심화 소척도는 CFQ와FFMQ에 비추어 적절한 공존 타당도를 보였다. 표집 A에서 탈중심화 방략은 기존 방략에 더하여 우울과 불안에 대해, 그리고 표집 C에서는 강박 사고에 대해 각각 추가 설명력을 보여서증분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확장판은 내적 일치도가 양호했고, 대부분의 방략은 6주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적절했다. 이는 TCQ에 비해 확장판이 침투 사고의 조절 방략 및 그 결과에 대해더 넓은 설명력을 가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Intrusive thought (IT) as a common inner experience can cause various psychopathologies if not effectively controlled. This study aimed to extend the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 (TCQ) measuring strategies to control IT in terms of punishment, worry, distraction, social control, and reappraisal by adding decentering to broaden the scope of thought control strategy. The Extended TCQ (E-TCQ), Cognitive Fusion Scale, Five-Facets Mindfulness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Self-rating Anxiety Scale, and Padua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the 582 cyber university students (sample A 344, sample B 58, and sample C 180). In sample A,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ong with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It revealed a six-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existing five factors plus decentering as a separate factor support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E-TCQ. In sample B, the new decentering subscale showed expected correlations with mindfulness and cognitive fusion, confirming its concurrent validity. Furthermore, the decentering subscale explained depression and anxiety additionally in sample A and obsessive thought in sample C above the existing five strategies proving its incremental validity. All six strategies showed fair internal consistency. The five strategies except worry showed proper test-retest reliability over month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TCQ provides a wider coverage for regulating IT and better adaptation consequence than the original TCQ.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