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Impact of Elderly Individuals' Digital Competence on Attitudes towards Digital Usage: Analysis of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haring, and Networking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정호 강상훈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34~50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5/1050635.jpg)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자의 디지털 사용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디지털 역량 수준이 디지털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효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실시한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패널데이터 중 만 55세 이상 고령층 2,3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데이터는 지자체별 비례할당표집으로 대인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Statistics 26.0 및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5세 이상 고령층으로 디지털 정보생산 및 공유와 디지털 네트워킹 수준이 평균 이하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에서 4개의 변수(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 정보생산 및공유, 네트워킹) 모두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층의 역량수준과 디지털 이용 태도의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디지털을 이용한 네트워킹이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디지털 역량 수준이 디지털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순차적 매개효과에 관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level of digital usage among elderly individuals by analy zing the effects of digital competence on attitudes toward digital usage,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haring, and networking. The study analyzed a sample of 2,300 elderly individuals aged 55 years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the “2022 Survey on the Digital Information Gap”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in Korea. The data was gather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based on a proportionate quota sampling method across various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employed SPSS Statistics 26.0 and SPSS Process Macro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aged 55 and old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levels of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haring, and networking were below average. Secondly,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all four variables(digital competency level, digital device usage attitude, information production and sharing, and networking) exhibit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competence level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ir attitudes towards digital usage have dual mediating effects through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haring, and network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 sharing, and networking on the impact of elderly individuals' digital competence on attitudes towards digital us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