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98
-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f a Future Communicable Generation Design Based on OECD Education 2030: Focused on First-Grade Korean Content in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유시은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167~1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남북 사회 통합에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공교육 국어교과 교류를 위한 “공유공간”의 준비 및 운영역량의 디자인으로서, 미래 통일학 세대의 소통스킬을 질적으로강화하는 것이다. 공유공간은 글로벌 규모의 OECD 2030 “공유공간” 개념을 한반도 지역의남북간 실정에 적합하게 원리 적용하였다. 또한, 그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통조력 도구를 디자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성 원리와 OECD 2030을 기반으로 한공유공간에 대한 적합성 모델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소통스킬의 상태 변화과정을 순서도로 제시하였다. 셋째, 소통조력 도구로서 “발달-사회제도적 필터” 및 16개 변인으로 구성된 “OECD 2030-사회제도적 필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 소학교 1학년 국어과목에개발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일학 소통세대를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남북 간 교육 통합뿐만 아니라 남한 내 다문화 및 세대간소통스킬을 제고하는 관점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지향에 적합한 소통스킬을갖춘 통일 인재 육성의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 to qualitatively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future generation of the study Unification as a prepar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shared space” for exchange in public education language courses. This is a priority need for future interKorean social integration. The shared space is an application of the OECD 2030 “shared space” concept on a global level by adapting its principles to the situ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 also designed communication facilitation tools that can be used in the spa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ce principle and the conformity model for shared space based on OECD 2030 were expressed in formulas. Second, a flow chart is presented of the state change process of communication skills. Third, a “development-social and institutional filter” was designed as a tool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the “OECD 2030-social and institutional filter” was created, comprising 16 variables.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two filters to the first grade Korean subject in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 is present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communicable generatio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hift perspectives not only on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ns, but also on enhancing multicultural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South, and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unified human resources with globally-oriented communication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통일학 소통세대 디자인
Ⅳ. 소통세대 디자인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