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after Paternity Leave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민주 서정재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성육아휴직을 직접 경험한 이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출산의향에 대해 분석한다. 과거에 비해 남성육아휴직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성육아휴직을 경험한 이들의 출산의향도 함께 높아져 출산율 제고에도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조건 하에 있는 남성육아휴직자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육아휴직 여건에 상관없이 남성육아휴직을 경험한 이들 대부분은 출산의향에 거의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하였다. 남성육아휴직 제도 자체가 지니는 한계가 없다는 가정하에서도출산의향에는 변화가 없었다. 각자 자신들의 자녀계획에 변경을 가할 정도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남성육아휴직이 본인들의 출산의향을 높이지는 않아도 사회적 차원에서는 출산율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육아휴직 제도가 사회 전반적으로 일반화되어 자녀계획 이전이나 그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과, 개인의 출산의향과 사회적 차원의 출산율 제고 간 간격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회문제의 내면화와 실천노력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남성육아휴직 제도를 출산율 제고 방안으로 삼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논의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aking paternity leave increases fathers’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Given that the number of men taking childcare leave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aking paternity leave is helping to improve the fertility rate by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Twenty people on paternity leave under the same conditions were interviewed and their responses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for taking parental leave, for most of the participants, paternity leave did not affect their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Even if there were no problems with the paternity leave system, there was no change in the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For those who took parental leave, it did not affect their intention to have more children than they had originally planned. However, they thought that the paternity leave system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even without changing their willingness to have more childre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ernity leave system should be made easily accessible to everyone so that paternity leave can have an early impact on plans to hav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 between individuals’ willingness to have children and the fertility rate in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rethinking the use of the paternity leave system as a wa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연구의 함의와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