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이용수 94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et-Based Cognitive Behavioral Self-Help Program for Insomnia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한수미 김환 최혜라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치료용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BTi)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개발한 CBTi는 수면교육, 수면위생, 자극조절, 수면제한, 이완요법, 인지재구성의 6개 요소를 포함하였다. 총 참가자 142명을 모집하여 100명은 처치집단으로 42명은 대기자 통제집단으로 할당하였다, 처치집단 100명 중 프로그램을 마치고 사후평가까지 완료한 사람은 26명으로 완료율은 26%였다. 4개의 측정 도구(불면증 심각도, 과도한 수면 노력, 비합리적 수면 신념, 우울)에서 집단과 처치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집단과 처치 간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완료한 참가자들의 경우 불면증 심각도, 과도한 수면 노력, 비합리적 수면 신념, 우울의 개선이 뚜렷한 반면, 대기자 통제집단의 경우 점수 개선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인터넷으로 전달되는 자가치료용 CBTi도 사용자가 성실하게 활용한다면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자가치료용 프로그램의 낮은 치료이행도의 문제도 확인되어 향후 이를 보완할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ntailed a self-administer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 delivered through an internet platform. The CBTi comprised six components: sleep education, sleep hygiene, stimulus control, sleep restriction, relaxation techniques, and cognitive reconstruction. Out of 142 participants, 100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42 to the waitlist control group. However, only 26 out of 100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completed the program and post-evaluation, resulting in a completion rate of 26%. The study examined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reatment using four measurement tools: insomnia severity, excessive sleep effort, irrational sleep beliefs, and depression. Consequently, the interactio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program exhibited improvements in insomnia severity, excessive sleep effort, irrational sleep beliefs, and depression,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demonstrate such enhancement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elf-treatment CBTi delivered online can be effective if participants demonstrate diligence. However, the observed low adherence to the self-treatment program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future impro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 역량과 사고 균형성이 SDGs 연계 ESG활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핵심요인 탐색
- 남북산림협력과 SDGs
- 가상자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과 예측 - 시계열 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의 비교 및 개선점 제시
-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AI 활용 진로지도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연인관계 종결 후 스토킹 행위를 하는 일반 성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사고통제질문지(TCQ)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 심각성 지각이 기후변화 이벤트의 가치, 이원 태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수업 설계 연구
- 안전한 주거생활을 주제로 한 인공지능 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지원예비군(志願豫備軍) 제도 발전방안 연구
- 불면증 개선을 위한 인터넷기반 인지행동 자가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국내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생산 공유와 네트워킹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