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정신건강통합센터 사례를 통한 정신장애인 주간재활시설 개선 방안
이용수 124
- 영문명
- Improvement of Da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rough the Case of Seoul Integrated Mental Health Service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하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2호, 149~1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회복지향서비스를 위해서는 정신건강 기관이 회복의 원칙을 서비스 구조와 내용에 반영해야 한다. 정신장애인 주간재활시설은 회복지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오고 있으나 정신보건법 제정 당시부터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서비스 구조가 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시 정신건강통합센터는 주간재활시설의 한계점들을 개선하여 새로운 시도를 한 사례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센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주간재활시설의 제도적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 이용자, 협력기관 실무자 총 13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하여 통합센터의 시도와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등록 없이 선택 이용’, ‘치료가 아닌 배움’, ‘당사자 주도 활동’, ‘실제적인 취업준비’라는 네 가지 특성에 대해 각각 서비스 내용과 성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간재활시설의 정책 목표를 회복으로 재설정, 정원제를 폐지하고 이용대상 확대, 취업지원과 평생교육 중심의 서비스 다양화와 특성화, 당사자 주도활동 강화 및 동료지원가 배치, 공공설치 확대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For recovery-oriented services, mental health institutions need to incorporate the principles of recovery into the service structure and content. Da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ve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provide recovery-oriented services, but the service structure that has been maintain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s a major limitation. The Seoul Integrated Mental Health Service Center is an example of attempting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day rehabilitation facilitie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day rehabilitation facilitie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enter. To this e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3 service providers, users, and practitioners from collaborating agencies, to analyze the center's efforts and outco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rvice contents and outcomes were derived for each of the four characteristics: ‘service choice without registration’, ‘learning rather than treatment’, ‘user-driven activities’, and ‘practical employment prepar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recommended resetting the policy goal of day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recovery, abolishing the quota system and expanding the target population, diversifying and specializing services with focus on employment support and lifelong education, strengthening user-driven activities and peer support, and expanding public installations.
목차
1. 서론
2. 문헌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 주간재활시설 개선 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교사와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평생교육기관 외부강사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대한 탐색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경험 연구 : 자립생활 지원체계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국내 장애계 논쟁의 프레임 분석
- 정신건강서비스 환경에서 근무하는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 경계선 지능인 사례관리 경험과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교육경험과 개념인식의 매개효과
- 코로나19가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정신건강통합센터 사례를 통한 정신장애인 주간재활시설 개선 방안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아동학대의 관계: 가족지원서비스 도움정도와 미래계획 준비도의 다중가산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