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이용수 7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erceived Daily Resp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조연수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2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를 가진 아동이 지각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생산한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4차년도(2021) 데이터 중 초등학교 4-6학년 2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 version 4.2(Hayes, 2022)의 Model 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아동 학생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학교적응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아동이 일상에서 타인에게 존중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학교에 잘 적응함으로써 삶의 만족에 기여하는 과정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장애아동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교육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impact of perceived daily respect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and its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targeted 22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using data from the 4th year (2021)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produced by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version 4.2 (Hayes, 2022). The ke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daily respect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indirect impact of perceived daily respect by disabled children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the indirect impact of perceived daily respect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chool adaptation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Finall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daily respect by disabled children through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on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policies and educational initiatives aimed at guaranteeing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nhancing their life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결과 및 해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교사와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평생교육기관 외부강사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대한 탐색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경험 연구 : 자립생활 지원체계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국내 장애계 논쟁의 프레임 분석
- 정신건강서비스 환경에서 근무하는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 경계선 지능인 사례관리 경험과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교육경험과 개념인식의 매개효과
- 코로나19가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정신건강통합센터 사례를 통한 정신장애인 주간재활시설 개선 방안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아동학대의 관계: 가족지원서비스 도움정도와 미래계획 준비도의 다중가산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