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국내 장애계 논쟁의 프레임 분석
이용수 64
- 영문명
- Frame analysis of domestic disability community debate on personal budget system: Focusing on self-directed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안형진 진형식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2호, 85~1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임 분석을 통해 개인예산제를 둘러싼 국내 장애계의 논쟁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한국적 개인예산제를 모색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개인예산제에 대한 국내 장애계의 논쟁이 복지서비스의 자기주도성, 복지서비스의 시장화 및 공공성, 복지서비스의 사람중심실천과 연관되어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각 개인의 지원 욕구를 유연하면서도 엄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공공의 과제로, 장애인 개인의 선호와 욕구를 유연하게 파악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지원계획을 당사자와 가족 등의 이해관계자와 함께 수립할 수 있는 역량 구축과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개인을 옹호하고 지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을 민간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bate in the domestic disability community surrounding the personal budget system through frame analysis and, based on this, to suggest the role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implementing a Korean personal budget syste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oints of contention in the domestic disability community regarding the personal budget system are related to the self-direction of welfare services, the marketization and public nature of welfare services, and the person-centered practice of welfare service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 public task to establish a service system that can flexibly yet rigorously identify the support needs of each disabled individual, and to flexibly identify the preferences and desires of disabled individuals, and to develop a support plan to support these, including the person and their family. Building capacity that can be established together with stakeholders and building a network that can advocate and suppor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were presented as tasks for the private secto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개인예산제에 대한 국내 장애계 논쟁의 프레임 분석
5.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교사와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평생교육기관 외부강사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대한 탐색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경험 연구 : 자립생활 지원체계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국내 장애계 논쟁의 프레임 분석
- 정신건강서비스 환경에서 근무하는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 경계선 지능인 사례관리 경험과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교육경험과 개념인식의 매개효과
- 코로나19가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정신건강통합센터 사례를 통한 정신장애인 주간재활시설 개선 방안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아동학대의 관계: 가족지원서비스 도움정도와 미래계획 준비도의 다중가산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