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Collaboration Experiences between Teachers and External Instructo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나관엽 김현진 조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2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서 교강사간 협력 경험의 의미와 실질적인 협력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와 외부 강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회차별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연속비교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협력경험의 의미와 요인으로 프로그램 운영의 구조적 제약, 프로그램 운영 시 강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협력의 새로운 방향성 제시라는 3가지 상위범주와 물리적 환경과 예산의 제한 등 9가지의 하위범주, 그리고 38개의 의미단어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강사간 협력경험의 의미와 협력을 위한 개선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제언: 현장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교강사의 협력은 양질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매우 필요한 요인인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른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practical factors of collaboration experience between teachers and instructors in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program-by-program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external instructors work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consecutive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ee major categories of the meaning and factors of collaboration experience were derived: structural constraints at the program leve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instructor when running the program, and suggestion of new directions for collaboration. In addition, nine subcategories,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and budget limitations, and 39 meaningful words were derived. Through these, this study concretely suggested the meaning of the collaboration experience in the field between teachers and instructors, and the improvements for their collaboration. For the field and follow-up research, we suggested that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s a crucial factor for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instru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이 인식한 일상에서의 존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교사와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평생교육기관 외부강사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대한 탐색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경험 연구 : 자립생활 지원체계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개인예산제도에 대한 국내 장애계 논쟁의 프레임 분석
- 정신건강서비스 환경에서 근무하는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 경계선 지능인 사례관리 경험과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교육경험과 개념인식의 매개효과
- 코로나19가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정신건강통합센터 사례를 통한 정신장애인 주간재활시설 개선 방안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아동학대의 관계: 가족지원서비스 도움정도와 미래계획 준비도의 다중가산조절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