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54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Young Cancer Survivors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화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93~3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 방법이며, 4인의 연구참여자로부터 삶 속에서 경험된 살아내는 이야기(told stories)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연구참여자의 암경험의 의미를 제시하는 틀로는 Schlossberg(1984)의 전환 이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환의 상황요인에서는 암경험이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둘째, 자아요인에서는 자기이해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지원요인은 전문가 및 의학적 지원(치료)와 가족 및 동료들의 지원이었고, 넷째, 전환 전략요인은 신체치료, 자기돌봄, 삶의 재조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요인들이 젊은 암경험자의 삶의 전환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젊은 암경험자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젊은 암경험자에 대한 인식개선 및 사회복귀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s of young cancer survivor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is a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the told stories experienced in lif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four research participant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cancer experiences, I used Schlossberg's(1984) Transition Theory. As a result, First, cancer experience was common in Situation of transition. Second, self-understanding was the most important in Self. Third, strong support was provided through medical treatment by professionals, as well as support from family and colleagues in Support. Lastly, this study finds that physical therapy, self-care, and life reevaluation fall under the factor in Strategies. These factor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life transformation of young cancer surviv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 broader comprehension of young cancer survivors, facilitating their social reintegration and enhancing the general perception of young cancer survivors.
목차
Ⅰ. 이야기의 시작
Ⅱ. 연구방법과 연구절차
Ⅲ. 젊은 암경험자로 살아가기
Ⅳ. 이야기 맺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