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이용수 18

영문명
Critical Review of Maker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Bruner's Cultural Constructivism
발행기관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저자명
조웅민
간행물 정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39~2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DIY 문화에서 진화한 메이커 운동은 공유·협업 등 4차 산업혁명의 가치와 어울리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담론으로 구성되었다. 메이커 교육은 메이커 운동의 가치와 Papert의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제조 장비를 활용한 산출물 제작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메이커 교육은 물질적인 요소, 제작 활동 자체를 강조하고 있어 메이커 문화의 공유·협업의 가치를 학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메이커 교육의 이러한 가치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으로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apert의 구성주의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을 Bruner의 문화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여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다. 현재 메이커 교육의 비판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둘째, 단순한 만듦, 학교에서의 일회성 행사를 위한 교육, 셋째, 기존에 노작 및 공작 활동을 이미 활용하는 특정 교과에 국한되고 있다는 점, 넷째,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의미 구성, 메이킹 과정과 결과에 대한 공유의 부족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메이커 교육의 비판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이커 문화의 본질을 교육 활동에 반영하기 위한 이론으로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작 활동을 넘어서 학생은 학생 또는 교사와 상호 소통하여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간주관적으로 바라보며 두뇌에서의 정보 처리뿐만 아니라 마음에서의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메이킹 내러티브(making narrative)를 통해 실생활을 문제를 해결하는 일상 교육으로의 발전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values of the maker movement and Papert's constructionism theory, maker education presents a program for creating outputs using analog and digital manufacturing equipment. However, current maker education emphasizes material elements and the making activity itself, which limits learning about the sharing and collaboration values of maker cul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maker education, grounded in Papert's constructionism, should be reevaluated through the lens of Bruner's cultural constructivism theory to enhance its development into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his study summarizes the criticisms of current maker education. Firstly, there is a lack of integration of maker education into the regular curriculum. Secondly, maker education is limited to simple making and one-time events in schools. Thirdly, it is limited to certain subjects that already utilize tinkering and making activities. Fourthly, there is a lack of meaning-making around social issues and a lack of sharing of the making process and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folk education, addressing real-life problems through 'Making Narrative.' Beyond the making activities, students can engage with fellow students or teachers to construct meaning in their minds and facilitate information processing by examining personal and social issues from an intersubject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Papert와 Bruner의 구성주의
Ⅲ. 메이커 교육, 제작에서 그칠 것인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웅민. (2023).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11 (3), 239-263

MLA

조웅민.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11.3(2023): 239-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