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Narrative and Educational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장사형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17~2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의 앎의 방식과 다양한 삶의 측면들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인간의 경험을 조직하고 이해하며 지식을 구성하는 주요 사고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가 많은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교육 분
야에서도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이 내러티브를 자신의 교육실천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에 대해 고민이 크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교육실천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들을 고찰해 본 것으로서,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그대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아주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기보다는 내러티브의 교육적 가치와 교육 현장에의 적용가능성을 밝히고, 그것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방향성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내러티브를 적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을 스스로 구안해 내고, 그 가치를 평가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As the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ways of human know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life and the express of representation types increases, many studies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its narrative as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of human experience and constituting of knowledge are taking place, while a number of researches are accumulating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teachers in the field of school are mostly concerned about how to apply this narrative into their own educational practice in detail. Thereupon, this study considers several methods on applying the narrative in educational practice.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narrative and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with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how several directions on how that could be applied to education, rather than providing specific methods of application directly to their class for the teachers. With this, teachers are expected to be able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developing concrete methods of applying the narrative into their classes and evaluating its worth.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인식론적 패러다임의 전환
Ⅲ. 내러티브와 교육
Ⅳ. 내러티브의 교육적 적용 방안
Ⅴ.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