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이용수 55
- 영문명
- New Therapy in Schools: Transition to Narrative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임보혜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5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 상담에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내러티브 상담을 논의하였다. 내러티브 상담은 내담자와 협력적으로 탈중심적이면서 영향력 있는 관계를 구축한다. 상담의 과정은 문제의 경청과 해체, 독특한 결과의 해체, 대안적 이야기를 구축하는 순서로 전개된다. 대안적 이야기 구축 방법은 행동 영역과 정체성 영역 두 차원에서 이야기 내러티브를 통한 재저작과 스캐폴딩, 회원재구성, 정의예식과 외부증인집단 등이 있다. 내러티브 상담을 적용한 사례에서 문제 이야기에서 정체성은 ‘철없는, 행복한 유년기’로 나타났고, 이야기 다시 쓰기를 통한 대안적 정체성은 ‘가족을 지킬 수 있어서 행복한 유년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야기 다시 쓰기를 통한 사례에서 나타난 변화를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내러티브 사고 과정이 강조되는 학교 현장에서 내러티브 상담 적용 연구가 이어지기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narrative therapy as a new approach to
school counseling. Narrative therapy is a collaborative, decentralized,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The therapy process unfolds in the order of deconstructing the problem and unique outcomes, and constructing an alternative stories. Methods for creating alternative stories include reauthoring and scaffolding, re-membering, and using definitional ceremony and outsider witnesses. In the case, the identity in the problem story appeared as ‘an immature, happy childhood,’ and the alternative identity was confirmed as ‘a happy childhood because I was able to protect my family.’ In addition,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case through story reauthoring were presented from a neurophysi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counseling would continue in school settings where narrative thinking processes are emphasiz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내러티브 상담의 이해
Ⅲ. 내러티브 상담의 실제 적용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