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이용수 25
- 영문명
- Understand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Exploration Narrative: Perception and Behavior Regarding Time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목정연 이하영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99~1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탐색의 주체인 중학생의 관점으로 진로탐색 경험을 드러내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학생 진로탐색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여섯 명의 중학생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을 각각 7회 〜11회 개별 면담하였고, 참여자들의 부모나 친구와의 면담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에서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진로탐색 내러티브의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는 ‘막연하고 불안한 미래’, ‘미래 수단으로써의 현재 소홀’, ‘몸에 밴 나쁜 습관’, ‘학업과 여가의 불균형’, ‘거짓된 꿈의 연결’, ‘꿈을 통하여 깨닫는 현재의 의미’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의 시간에 관한 교육적 의미는 ‘꿈을 통하여 현재 삶에 충실하기’, ‘꿈을 위한 습관 만들기’, ‘공부와 삶의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areer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 a crucial stage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 main subjects of career exploration. Additionally, it seek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s based on this. The study conducted narrative inquiry with six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as participants from 3 regions. The researcher gained an understanding of their narratives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nd their parents or friends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time spent on career exploration narratives, which included vague and anxious future, neglecting the present as a means for the future, unhealthy habits affecting the body, imbalance between academics and leisure, connections to false dreams, and realizing the present meaning through dream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areer exploration narratives includes being faithful to current life through dreams, developing habits for dreams, and achieving a balance between studies and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중학생 진로탐색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의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