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79
- 영문명
- Narrative Inquiry into the Challenges Faced b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Dealing with Behavioral Issu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151~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행동문제가 있는 장애학생이 통합된 학급에서 직면하는 교사의 요구와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7년차 초등교사로서 5년째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이다. 면담과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
과 행동문제가 있는 장애학생이 통합된 학급의 담임은 다음과 같은 요구에 직면함을 보여주었다. 첫째, 행동문제가 발생하는 상황 통제 둘째, 장애학생 행동중재 셋째, 다른 학생들에게 장애학생 행동문제 이해시키기 넷째, 학부모 민원 응대 다섯째, 교수적 수 정의 요구이다. 이런 요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부딪히는 어려움은 행동문제를 가진 학생을 다루는 학교 시스템의 부재와 취약한 통합학급에 대한 지원 시스템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시스템과 통합지원교사 등의 도입을 통해 교사가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발되고 정착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demands and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when dealing with students with challenging behaviors.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a teacher with seven years of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homeroom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with students with challenging behaviors face the following demands: firstly, controlling situations where challenging behavior occurs; secondly, intervening in th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ly, helping other students understand the challenging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ly, responding to parental complaints; and fifthly, demand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s.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 teacher in addressing these demands can be summarized as the absence of a school system for dealing with students with behavioral problems and a vulnerable support system for inclusive classroom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a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inclusion support teachers. This would enable teachers to focus on educational activities more effectivel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