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이용수 78
- 영문명
- Developing a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y of Mind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은지 강현석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179~21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에 학교 교육과정이나 교과별 교육과정 수준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한 것이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경험이나 지식 구성에 강조를 두고 있으므로 학습자의 의도나 목적, 마음 상태를
충분히 고려할 경우에 보다 진정한 교육과정 실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마음 이론과 내러티브는 매우 친밀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학습자의 주체성이나 상호 소통, 상호협력 역량을 개발하는 측면에서 교육과정 개발의 연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모형을 수업 실천의 측면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Lauritzen과 Jager의 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적용 모형을 탐구하였다. 문제해결을 위하여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시나리오 구성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전 방식과 다르게 학습자의 주체성과 소통성이 잘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roaches the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y of mind. Because narrative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experiences and knowledge construction, authentic curriculum practices can be made possible if the learner's intentions, purposes, and state of mind are fully considered. In this sense, theory of mind and narrative are closely related, and the integration can promote the linkage of curriculum development, especially in terms of developing learners' capacities of agency, communication skill, and cooperation. From this stance, this study explores a new model of curriculum application using Lauritzen & Jager's model, which most concretely presents the narrative curriculum model in terms of classroom practice. To solve this problem, scenario techniques were us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have discovered the potential for learners' agency, communication skill, and cooperation well, unlike the traditional mod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등학생의 마음 이론에 주목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탐색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