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the Alternative School Principal’s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Practice Modes of Identities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우 조덕주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1권 제3호, 265~2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징과 정체성 및 정체성의 실천 양상을 탐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3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징으로, ‘의미 있는 타자와의 만남’, ‘지속적인 성찰’, ‘성찰과 실천으로 회귀적 변화’ 등을 추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대안학교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 수행을 하면서 ‘창의적 교육자’,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는 중재자’, ‘대안교육 가치를 고수하는 열정적 리더’ 등의 다중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창의적 교육과정 개발자 및 운영자로서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자 맞춤형, 실제 생활중심 교육과정을 계획, 실천하고 있었고 중재자로서 이들은 보다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으로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중재하고 있으며, 열정적 리더로서 사회의 편견 해소를 위한 지역 활동가, 대안교육 정책 변화를 위한 활동가로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색있는 대안 교육 이념을 실제로 실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공교육과 자율적이고 융통성있는 대안교육의 협력 상호보완의 관계 모색 등을 추후 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school principal's identity formation process, identities and practice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following a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rgeting thre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were extracted such as ‘meeting with meaningful others’, ‘continuous reflection’, and ‘recursive changes through reflection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med multiple identities such as ‘creative educator’, ‘mediator who collects diverse voices’, and ‘passionate leader who adheres to alternative education values’. As creative educato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planning and implementing a student-centered, real-life-centered curriculum, and as mediators, they were collecting and mediating the opin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nd as passionate leaders, they were prejudiced against social prejudi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he search for a coopera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alternative education were proposed as future research task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젊은 암경험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남성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성역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제주 지역 30대 남성의 초등학교 전입 이야기: “너”로서 친구와 자연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 중학생의 진로탐색 내러티브 이해: 시간에 대한 인식과 행위
- 울릉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통합학급 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 행동문제 대처의 어려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 이론에 기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 적용 방안
-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 Bruner의 문화구성주의로 바라본 메이커 교육의 비판적 검토
- 대안학교 교장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정체성의 실천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초등교사들의 내러티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