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64
- 영문명
- Bilingual Curriculum Impact on Vietnamese Multicultu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Cognitive, Functional, and Emotional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은 장인실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77~2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미래 사회에 다문화 학생을 인재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닌 다문화 학생이 가진 언어적 능력을 활용하며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의 언어적 강점을 활용한 이중언어 활용 교과수업을 통해 어떠한 인지적·기능적·정의적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 다문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 수업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한국어 사용능력과 교과 이해 능력에 의미있는 변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교과 이해 능력 뿐 만 아니라, 한국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은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을 통해 자신이 수업을 이해하는 정도를 분명히 파악하였고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등 정의적 측면에서의 성과가 있었다.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은 다문화 학생의 언어적 강점을 활용한 수업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기존의 다문화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Social chang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rapidly taking place. In order for meaningful education to take place in the future socie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asses that can foster the capabiliti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by utilizing the linguistic abilit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not just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functional, and emotional changes through bilingual curriculum using the linguistic strength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are meaningful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bilingual subject classes,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ability to use Korean and understand the subject in terms of cognition. Seco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Korean has improved. Third, the subjects clearly identifi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lass through bilingual subject classes and achieved positive results, such as improving their confidence in learning and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 효과를 중심으로
- 중국아동이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태도와 생활만족도연구
- ‘다문화 멘토링’ 참여 대학생 대상 요구분석을 통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 전환기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잠재프로파일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탐색
-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고등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 수퍼바이지의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맥락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