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퍼바이지의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맥락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용수 164
- 영문명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Supervisees’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Supervision Experiences and Their Contex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강수정 유금란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6권 제3호, 35~6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에서 겪은 수퍼바이지들의 경험과 그 맥락을 결정적 사건 기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총 9명의 상담 수퍼바이지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주요 인터뷰 질문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에서 겪은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 수퍼비전 경험에 따른 수퍼바이지 반응 및 향후 영향 등으로 구성되었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개 영역, 15개 범주, 51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5개 영역은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에 관련된 ‘개인적 맥락’, ‘환경적 맥락’,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경험 이후 정리와 기대’로 분류되었다. 한국 수퍼바이지는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및 수퍼비전을 둘러싼 개인적 맥락과 환경적 맥락 내에서 수퍼바이저의 다문화 사회정의 관점과 권위에 대한 태도로 인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수퍼비전 경험을 겪고 있었고, 이 경험이 이후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및 수퍼비전에 대한 개인의 정리와 기대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및 수퍼비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 모두에게 체계적인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upervisees’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counseling (MSJC) supervision experiences and their contexts focusing on supervisees’ critical incidents. A total of 9 supervisees participated in a semi-structured interview including questions such as positive or negative experiences of MSJC supervision, responses and subsequent impacts of supervision from supervisees’ perspecti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total of 5 domains, 15 categories, and 51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five domains consisted of ‘personal contexts’, ‘environmental contexts’, ‘positive experiences’, ‘negative experiences’, and ‘further implications and expectations’, regarding MSJC supervision. With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s, supervisees went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based on a supervisor’s MSJC competencies and attitude towards power. Those experiences then have influenced supervisees’ implications and expectations of MSJC and MSJC supervi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ncreasing demand for MSJC and MSJC supervision as voiced by supervisees in Korea. It is clear that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requir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in MSJ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 효과를 중심으로
- 중국아동이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태도와 생활만족도연구
- ‘다문화 멘토링’ 참여 대학생 대상 요구분석을 통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 전환기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잠재프로파일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탐색
-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고등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 수퍼바이지의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맥락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