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이용수 57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Towards Korean Reunification on Pro-Unification Action with Social-Cognitive Perspective Among Korean Adul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재 신윤정 김지선 윤효정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일에 대한 집단적 지향 행동 및 옹호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사회인지적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Miller 및 동료들(2009)이 제안한 사회인지적 관점에 기반한 사회정의 옹호 관심 및 실천 모델을 적용하였다. 20대부터 60대까지의 성인 460명의 자기보고식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델링(SEM)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는 통일을 위한 집단 지향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긍정정서와 집단행동 사이의 관계를 사회정의 자기효능감과 관심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 셋째, 긍정정서와 집단행동 사이의 관계를 사회정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그리고 관심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에 대한 집단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를 일으키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각 개인의 사회정의 자기효능감을 유발하기 위해 사회문제와 관련된 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정의 결과기대를 촉진시키기 위해 각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희망과 기대를 일깨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사회정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증가시키는 것이 결과적으로 사회정의 관심으로 이어져서 통일을 위한 집단 지향 행동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cial and cognitive mechanisms to predict group unification-oriented behavioral attitudes in Korean adults. To this end, Miller and colleagues’(2009) social-cognitive perspective based on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was used in this study. 460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provided self-reported data, which was then evalu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ffect of Korean reunification has a direct impact on pro-unification collective 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 and collective action is sequentially mediated by social justice self-efficacy and interes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 and collective action is sequentially mediated by social justic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interest. Next,the following are study’s implications. First, it’s crucial to focus on creat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Korean reunification in order to encourage group pro-unification a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to engage in socially relevant activities and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ir actions, in order to foster social justice self-efficacy. Third, the belief and hope that one’s activities can result in positive social change need to be elicited in order to raise outcome expectations. This will raise interest in social justice and encourage group efforts in favor of un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 효과를 중심으로
- 중국아동이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태도와 생활만족도연구
- ‘다문화 멘토링’ 참여 대학생 대상 요구분석을 통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 전환기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잠재프로파일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탐색
-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고등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 수퍼바이지의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맥락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