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이용수 182
- 영문명
- Analysis of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Youth Using Topic Modeling (LDA)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신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보도된 1,764건의 언론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이 발표된 시기를 중심으로 관련 기사를 1기(2010-2012), 2기(2013-2017), 3기(2018-2022)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기사가 증가하다 2013년 이후 기사 수가 감소하였지만 보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각 시기별 주요 키워드로 결혼이주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교육, 복지, 정책,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여성가족부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상위 토픽 3개와 각 시기별 세부 토픽 5개를 도출하였으며 1기(2010-2012)는 정책 추진 체계 기반 마련, 2기(2013-2017)은 정책 지속 변화 대응, 3기(2018-2022)는 장기정착에 따른 정책 조정 및 개편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기사를 다문화가족지원정책 발표시기와 연관하여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고 정책의 경향성과 연계하여 언론 보도의 토픽을 해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topic modeling among text mining techniques to examine social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youth. To this end, 1,764 media articles reported from 2010 to 2022 were collected using Big Kines, and related articles were divided into 1st (2010-2012), 2nd (2013-2017), and 3rd (2018-2022), focusing on the time when the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was announc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has decreased since 2013, but continuous media reports have been made. Second, as the main keywords for each period, education, welfare, policie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ere derived. Third, three top topics and five detailed topics for each period were derived, and the first (2010-2012) was named as a foundation for the policy promotion system, the second (2013-2017) as a response to policy continuous changes, and the third (2018-2022) as a policy adjustment and reorganization according to long-term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 효과를 중심으로
- 중국아동이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태도와 생활만족도연구
- ‘다문화 멘토링’ 참여 대학생 대상 요구분석을 통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 전환기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잠재프로파일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탐색
-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고등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 수퍼바이지의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맥락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