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아동이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9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Perceived by Chinese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백원원 김리진 이진주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53~2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하북성 S시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Cronbach'α, t-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행동(통제)에서 어머니의 학력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통제)에서 아버지의 학력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또래관계의 질은 학년과 어머니의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격려자주성)은 또래관계의 질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통제)은 또래관계의 질과 부정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격려자주성)은 자기결정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통제)은 자기결정성과 부정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그리고 또래관계 질은 자기결정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격려자주성, 통제)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아동의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격려자주성)이 또래관계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성을 통해 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통제)가 부적으로 간적접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이 친밀한 또래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높게 또래관계 질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아동이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며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 내의 환경적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ediating role of self-determin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ling behavior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 sample of 402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s elementary school in S city, Hebei Provin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ather’s controlling behavior (control) and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other’s controlling behavior (control).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Secondly, parental encouragement independ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self-determination. And parental contro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determination. Thirdly,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ling behavior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was identified. And parental controlling behavior had a indirect effect o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를 활용한 교과수업이 초등 베트남 다문화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 효과를 중심으로
- 중국아동이 지각한 부모 통제적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태도와 생활만족도연구
- ‘다문화 멘토링’ 참여 대학생 대상 요구분석을 통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 전환기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잠재프로파일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탐색
-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다문화 고등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성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 수퍼바이지의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맥락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한 다문화가족, 다문화아동, 다문화청소년 관련 이슈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