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그림책 창작을 위한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실행연구
이용수 70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the Them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Class for the Picture Book Creation of Middle School Special Day Classroom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정예설 한경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2호, 299~3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그림책 창작을 위한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과정을 드러내고, 학생들과 연구자인 특수학급 교사, 학교 구성원들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총 3기의 과정을 거쳐 그림책 창작을 위한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을 실행하였다. 실행 1기에서 연구자는 그림책 창작을 위한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업의 대주제로 '환경'을 선정하였다. 실행 2기에서는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행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자료를 재구성하여 환경 그림책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실행 3기에서는 학생들이 창작한 그림책을 학교 구성원들과 공유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은 기발하고, 독특하게 마음껏 생각하고, 풍성한 대화로 배움을 넓히며, 그대로 괜찮은 지금을 만끽하는 수업의 주인으로 활동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시행착오 속에서 특수교사로서 입지를 다지고 교사로서의 행복을 찾은 후 특수학급 울타리 밖으로 나온 실천가로 살아가게 되었다. 셋째, 학교 구성원들은 특수학급 수업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찬사를 보냈다. 결론: 첫째,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그림책 창작 수업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주도적인 수업참여와 창의성을 길러준다. 둘째, 교원 간 협력적 관계를 통해 학생은 수업의 주인으로, 특수교사는 최선을 다하는 실천가로 존재하는 교실 수업을 운영할 수 있으며, 통합교육을 함께 그리는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m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class for picture book creation of middle school special day classroom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changes in student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school staffs. Method: In this study, them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picture book creation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recognizing the need them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picture book creation, the researcher chose ‘environment’ as the major theme of the class. In the second phase, the researcher supported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picture book about environment by themselves. The third phase was sharing their creative picture books with school staffs and peers. Results: First, students took control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it enabled them to think in an ingenious and unique way and to expand their knowledge through rich conversations in the theme-based reconstruction class. The students were able to fully enjoy the present as it is. Second, the researcher determined to strengthen her position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rial and error, find happiness of being a teacher, and live as a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 Third, school staffs became more interest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praised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 lot. Conclusion: First, them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class for picture book creation makes for middle school day classroom students to develop self-initia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creativity. Seco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makes both students and teachers to grow an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mmunity for inclusion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우울 및 학업 무기력의 관계에서 주관적 학업성취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치 주체의 현실과 과제 : 학교 구성원 간의 역할과 관계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장애학생 대상 스마트러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메타버스 플랫폼의 CSCL 도구 기능 분석과 요구 분석을 통한 협력 학습 도구 기능 적용 방안 탐색
- 아동청소년 통합스트레스 검사(IESS-A)의 개발과 타당화
-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행위 실재적 실행과 운동
- 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의 교과순회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정서와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의 임원활동 참여가 고등학생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대한 종단 연구: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조화로운 교육으로서 허친스의 교양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고찰
-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그림책 창작을 위한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