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치 주체의 현실과 과제 : 학교 구성원 간의 역할과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89

영문명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chool Autonomy: Focused on the Roles and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박희진 이동엽 강호수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2호, 269~29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자치의 핵심 실행자인 교원이 학교자치에 실제 참여하여 경험한 학교 구성원 간 역할과 관계를 중심으로 학교자치 주체에 대한 인식을 심층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학교차지에 대해 폭넓은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높은 초·중등학교 교원 30명을 대상으로 총 9개 포커스그룹을 구성, 면담을 진행하였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교장 5명을 포함하였으며 학교급별로 각 15명, 총 30명의 교원이 FGI(Focus Group Interview)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해서 학교자치의 당위적 주체와 실제 실행 주체로서의 역할 행사, 우선순위, 한계 등에 대한 관심이 교사들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다양한 교육주체의 수평적이고 균형 있는 참여가 학교자치의 지향점이자 기대되는 성과이기는 하지만, 실제에서 구현되기가 쉽지는 않다는 것이다. 실제 학교현장에서 학교자치를 누가 주도하는지에 대해 교사, 학생, 관리자 등으로 인식하는 상이한 의견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부모의 학교자치 참여의 당위와 필요성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사는 공감을 표하였다. 하지만 실제 학교자치의 실행과정에서 학부모는 명목상의 주체로 협조자 혹은 대상자가 되는 경우가 많고 적극적인 개입이 오히려 학교자치와 학교교육을 어렵게 하는 일도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교원 외 교육공무원 및 교육공무직 들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학교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교원은 구성원 간 역할 한계와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자구적 노력을 기울이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를 통해, 학교자치의 실행을 위한 구성원 간 역할과 참여 범위, 방식에 대한 체계적 정립, 학교교육 활동의 영역에 대한 이해와 합의, 구성원의 학교자치 역량 제고를 위한 체계 마련 등 교육 정책적 개입과 관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ubject of school autonomy, focused on the roles and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formed through the actual participation of school autonomy. Method: Nine focus groups were formed and 3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ere interviewed. Results: We found that interest in who is the subject of school autonom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in implementing school autonomy and understanding the role among members. However, with regard to who is leading school autonomy in the school, the perception that the teacher leads, the perception that the student leads, and the perception that the principal leads, respectively, were revealed, confirming that each teacher had different opinion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school autonomy,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school staff other than teachers, such as school nutritionists and administrative staffs, were shared as a matter of necessity, but there were conflicts and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ty formation. At the same time, we found that self-rescue efforts to overcome this were in progres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roles, the scope and methods of participation among memb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autonomy should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that an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We also suggested the need for educational policy intervention and interest in enhancing the school autonomy competency of members including teachers and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희진, 이동엽, 강호수 . (2023).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치 주체의 현실과 과제 : 학교 구성원 간의 역할과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3 (2), 269-297

MLA

박희진, 이동엽, 강호수 . "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치 주체의 현실과 과제 : 학교 구성원 간의 역할과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3.2(2023): 269-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