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정서와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이용수 52

영문명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Emo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s among Instructional Practices, Family Process and School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Wu, Yile 안도희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2호, 331~3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업정서, 자기주도학습 및 학교행복감 간의 상호상관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업정서, 자기주도학습 및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탐색하였으며,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정서와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3학생 학생 2,94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업정서, 자기주도학습 및 학교행복감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교수실제의 하위요인인 교사의 열의 및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인식, 학업정서의 하위요인인 교과흥미, 자기주도학습 및 학교행복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정서와 자기주도학습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수실제와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학생들의 학교행복감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며, 이는 학업정서를 향상시키고, 자기주도학습을 촉진함으로써 학교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학교행복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structional practices, family process, academic emotions,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it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practices, family process, and school happiness. Method: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the 6th year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and 2,941 middle school 3rd-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gender difference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MOS 26.0. Results: First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structional practices, family process, academic emotions,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happiness were observed.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instructional practices, such as teachers' enthusiasm and perceptions of teaching ability, as well as in the sub-factor of academic emotions such as subject interest,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happiness. Finally, academic emo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practices, family process, and school happin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oth family proces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had a direct impact on enhancing students' school happiness, and also contributed to improving academic attitudes and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ultimately enhancing overall school happiness.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valuable empirical data for exploring ways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Wu, Yile, 안도희. (2023).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정서와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3 (2), 331-364

MLA

Wu, Yile, 안도희. "교수실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정서와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33.2(2023): 331-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