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의 교과순회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59

영문명
A Study on the High School Subject Itinerant Teachers’ Subject Itinerant Experience and Percep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우선영 /Sunyoung Woo 1 , 박효원 /Hyowon Park 2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2호, 215~23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교과 순회와 인식에 대해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총 세 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먼저 교과순회교사제에 대한 개인적 의미와 일상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교과순회교사제 지원 동기, 제도의 목적에 대한 인식 그리고 경험하고 있는 일상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과순회교사로서의 경험과인식 부분에서는 ‘뿌듯함’, ‘다름’, ‘부족’, ‘누락’의 네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점학교에서의 행정 업무에 대한 서로 다른 경험과 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순회교사의 역할을 분명하게 설정하고, 이들의 초기 적응과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high school subject itinerant teachers. Method: The study focused on the cases of three subject itinerant teachers working in area A and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how they experience and perceive the experience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subject itinerant teacher system,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and operational issues, including the legal basis and operation type of the subject itinerant teacher system, were first presente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overall subject itinerant teacher system, experience and perception as subject itinerant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 experience and perception at a base school. First, i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overall subject itinerant teacher system, the purpose of the subject itinerant teacher system recognized by research participants, their motivation for application as subject itinerant teachers, and the daily lives they are experiencing were analyzed. Next, in terms of experience and perception as a subject itinerant teacher, the results were presented focusing on four keywords: ‘proud’, ‘different’, ‘deficiency’, and ‘ommission’. Finally, differ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dministrative work in base schools were analyz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role of subject itinerant teachers to be defined clearly, supports to be given during their beginning of work as subject itinerant teachers, and the emotional support to b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에 대한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선영 /Sunyoung Woo 1 , 박효원 /Hyowon Park 2. (2023).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의 교과순회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33 (2), 215-231

MLA

우선영 /Sunyoung Woo 1 , 박효원 /Hyowon Park 2. "고등학교 교과순회교사의 교과순회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33.2(2023): 215-2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