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및 요구 분석

이용수 390

영문명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of digital competency and needs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박주연 서희전 박남수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1호, 213~24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및 요구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여 차이를 검증하고, IPA분석, 교사 개인특성(연령, 디지털 역량 교육 시간,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개인, 기관, 정부 차원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디지털 시민성, 디지털 사고력,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플랫폼 활용, 디지털 페다고지의 모든 세부영역에서 중요도를 실행도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IPA분석 결과 1사분면(유지지속)에는 디지털 시민성의 세부영역을 비롯하여 6개 영역이, 3사분면(점진적개선) 영역에는 디지털 페다고지의 세부영역을 포함하여 7개가 포함되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연령, 디지털 역량 교육 시간,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디지털 역량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요구분석 결과는 개인 차원에서 다양한 연수과정, 교사 개인대상 예산지원, 교사 개인용 디지털 기기 보급 등이 제시되었고, 기관 차원에서는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 디지털 시설의 보급, 기관 예산 지원 등이 나타났으며, 정부 차원에는 예산지원, 디지털 정책 및 수업방안에 대한 정보 제공, 전문인력 지원 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d needs for the digital competency. To this end, the importance-performance level of digital competency were investigated for 221 early childhood teachers to verify the difference, IPA analysi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digital competency training time, type of work institution) were analyzed,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governmental levels for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igital citizenship, digital thinking ability, digital content production and platform utilization, and digital pedagog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6 areas including the detailed area of digital citizenship were included in the 1st quadrant (maintenance), and 7 areas including the detailed area of digital pedagogy were included in the 3rd quadrant (gradual improvement).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ime of digital competency training, and the type of work instit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eds for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various training courses, budget support for individual teachers, and supply of digital devices for teachers were presented at the individual level, and at the institutional level,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establishment, digital facility distribution, and institutional budget support At the government level, budget support, provision of information on digital policies and class plans, and professional manpower support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competenc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연,서희전,박남수. (2023).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및 요구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22 (1), 213-244

MLA

박주연,서희전,박남수.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및 요구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22.1(2023): 213-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