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놀이 재개념화 및 현장사례 분석 연구
이용수 672
- 영문명
- Digital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nceptualization and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권숙진 김혜정 서희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4호, 353~3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9 개정 누리과정 방향에 따라 유아의 놀이 경험이 강조되고 있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대면수업과 함께 원격교육이 병행되면서 디지털 놀이에 대한 재개념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놀이와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통해 디지털 놀이 개념과 범주를 제시하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디지털 놀이의 개념은 실세계의 놀이가 디지털로 재현되고 실제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경계가 없는 상황에서 유아가 주체로서 참여하며 디지털화된 대상물이나 상징을 활용, 변경, 구성하는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놀이와 디지털 놀이는 “상호 확장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현직 교사들은 상호보완적 관계 혹은 경계가 모호하다는 관점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서 재정립된 디지털 놀이의 개념과 사례 분석 결과들은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중심의 교육에 적합한 디지털 기술의 활용 방안 및 교수학습 전략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유아교육 분야의 놀이 연구 지평을 확장할 수 있는 디지털 놀이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디지털 놀이의 효과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증적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reconceptualization of ‘digital play’ is required as face-to-face classes and distance education are paralle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ly, digital play concepts and categories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digital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igital play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play is defined as an activity in which real-world play is reproduced digitally and children participate as subjects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digital world, and utilize, change, and construct digitized objects or symbols. Although play and digital play have a “mutually expanding relationship”, in-service teachers have a relatively high view that the relationship is complementary or the boundaries are ambiguou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ase analysis results of digital play re-established in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ng and using digital technology suitable for the play-oriented educational field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eco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theoretical research on digital play that can expand the frontier of play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mpirical research to researchers conducting research on the effects of digital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놀이 재개념화 및 현장사례 분석 연구
- 놀이중심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실천하기 위한 실행연구
- 유아 우울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유아의 놀권리를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
- 초등학교 전이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단기 종단 분석
- 유아교사 개인 변인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의 관계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 역량 관련 연구 동향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문학적․예술적 특성에 대한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와 지도교수의 자율성지지가 진로적응성과 플로리싱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인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놀이참여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개발 NGO의 세계시민교육 운영과 시사점: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