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놀권리를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
이용수 155
- 영문명
- Teacher’s self-study for children’s right to pla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상미 박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4호, 69~10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 스스로 연구 참여자가 되어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의 놀권리를 보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성찰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17년 경력의 공립유치원 교사이다. 연구는 2021년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12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유아의 놀이관찰기록, 교사의 반성적 일지, 동료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과 함께 연구 기간 내내 이루어졌다.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반성적 일지를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고민과 반성을 정리해 나갔고, 자료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성찰을 계획하고 실행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쳤다. 연구 자료들은 자기 연구 단계별로 정리하여 놀권리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놀권리 보장을 위한 환경적 지원방안으로 유아의 놀이시간을 확보하고, 놀이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놀잇감과 관련한 다툼을 해결하고 놀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자연물, 비구조적 놀잇감 제공을 통해 놀잇감을 다양화하고 놀잇감 사용 방법에 관하여 유아들만의 놀이를 인정하고 존중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비되는 교사와 유아의 입장사이에서 유아들의 놀이를 인정하고 허용하기 위하여 좀더 허용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관찰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안전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스스로 유아가 주체성을 가진 존재임을 인식하고, 유아의 놀권리를 존중하기 위하여 교사의 반성과 성찰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s to become a research participant and look at a teacher’s introspective process for guaranteeing young children’s play right in the kindergarten fields and supporting th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the middle of April, 2021 till the middle of July,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 notes of young children’s play,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ith colleague teachers. Research data were summarized by research stages to look at the reflection process about the right to 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play time and space were secured, and toys were diversified to ensure children’s right to play. In order to acknowledge and permit children’s play under the contrasting standpoints of teachers and children, this study created a more permissive environmen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as observers, and made an effort for children to play safely. In that regard,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should recognize that children are beings with subjectivity but also that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re required for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o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놀이 재개념화 및 현장사례 분석 연구
- 놀이중심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실천하기 위한 실행연구
- 유아 우울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유아의 놀권리를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
- 초등학교 전이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단기 종단 분석
- 유아교사 개인 변인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의 관계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 역량 관련 연구 동향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문학적․예술적 특성에 대한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와 지도교수의 자율성지지가 진로적응성과 플로리싱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성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인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놀이참여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개발 NGO의 세계시민교육 운영과 시사점: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