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특수학교 설립갈등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230
- 영문명
- Policy Network Analysis of Conflict in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Special School in Gangseo-gu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임소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29권 제4호, 107~1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에 따른 갈등 현상의 구조와 시기별 양상을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분석하고 원활한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시사점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갈등에서 정책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Marsh & Rhodes(1992)의 정책네트워크 모형인 구성원, 통합성, 권력, 자원을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정책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정책참여자는 31개, 상호작용은 139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정책참여자들은 모두 연결되어 있었다. 설립 계획 행정예고 및 의견수렴기(2013~2016)의 정책참여자는 비공식적 참여자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장애학생의 학습권 보호와 지역이기주의에서 비롯된 쟁점들이 양립하였다. 정책추진기(2017)는 정책참여자 간의 대립이 가시화되며 공식적 참여자들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정책수행기(2018~2019)의 정책참여자 역시 공식적 참여자의 참여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주요 쟁점은 소통 부족, 개교일 연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timing of the conflict phenomenon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in Gangseo-gu from the perspective of a policy network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smooth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policy participants in the conflict ove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in Gangseo-gu, members, integration, power, and resources, which are the policy network model of Marsh & Rhodes(1992), were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31 policy participants constituting the policy network and 139 interactions, and all policy participants constituting the network were connected. Policy participants in the establishment plan administrative notice and opinion gathering period(2013~2016)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informal participants, and issues arising from the prote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ight to study and local selfishness were compatible. During the policy promotion period(2017), confrontation between policy participants became visible, and official participants actively participated. Policy participant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eriod(2018~2019) were actively participated by official participants, and the main issues were lack of communication and postponement of the school opening day. Discussions were drawn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분석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 유치원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자유학년(기)제의 패러독스 현상 분석
-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코로나19 전후 중학생의 학습몰입이 학업성취에 미친 영향 분석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대정부 정책참여 활동에 관한 고찰
- 교육자치와 통합기구로서의 독일 교육문화부장관회의(KMK)와 한국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비교·분석
-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 정책의 우선순위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특수학교 설립갈등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자유학기(년)제 국제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