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27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and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주영효 정주영 박균열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29권 제4호, 85~1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 필요성 인식 변화 추이 및 교사와 학교장의 학교조직 영향 요인을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초5), 4차년도(중1), 6차년도(중3) 시점의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초기 인지도가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필요성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 변화 정도 역시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필요성의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② 학부모의 자녀학교 교육만족도에서는 학교가 학생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방과후 프로그램이 다양하면서 창의적일수록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③ 자녀교육 부담 정도에서는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고, 가정의 인성교육이 잘 될수록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가 높았다. ④ 교사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가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에 영향을 주며, 학교장과 교사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이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필요성 인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정책 제언으로 학부모, 교사, 학교장 대상의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홍보 강화,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참여 내용과 범주의 명시화, 마을교육공동체 효과 분석 필요, 마을교육공동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VEC) by analyzing the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 of the VEC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such as teachers and principals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this end, data from the 2nd year (primary 5), 4th year (middle school 1), and 6th year (middle school 3)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initial awareness of the VE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parents' need for the VEC,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level of the parents' need for the VEC. Second, the more diverse and creative the after-school programs were, the more positive the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was. Third, the 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and the better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 higher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Fourth, it was found that teachers' awareness of the VEC influenced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and that the principal and teachers’ awareness of the VEC had an effect on raising paren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VEC. This study suggested to strengthen public relations of the VEC, to clarify the contents and categorie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VEC,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VEC, and to build cooperative govern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분석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 유치원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자유학년(기)제의 패러독스 현상 분석
-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코로나19 전후 중학생의 학습몰입이 학업성취에 미친 영향 분석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대정부 정책참여 활동에 관한 고찰
- 교육자치와 통합기구로서의 독일 교육문화부장관회의(KMK)와 한국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비교·분석
-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 정책의 우선순위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특수학교 설립갈등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자유학기(년)제 국제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