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학기(년)제 국제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이용수 205
- 영문명
- Implications and International Case Study on the Free emester(Year)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박균열 엄준용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29권 제4호, 223~2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유학기(년)제의 큰 틀은 무엇이고, 시도교육청 혹은 단위학교는 어디까지 자유학기(년)제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자유학기(년)제와 유사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국가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 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유학기(년)제의 방향성을 수업 내용과 연계하여 좀 더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유학기제 관련 활동과 교과외 활동인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간 중복을 탈피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및 시수를 조정하여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재량권을 확대시켜줄 필요가 있고, 자유학기(년)제 활동과 교과 활동과의 연계성 부족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과내용과의 연계를 보다 분명히 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에서 연계학기, 혹은 자유학년제로 전면 확대할 때, 자유학기(년)제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필고사의 미실시가 학기가 아닌 학년으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고, 이 때 학생들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고교학점제에서 개인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자유학기(년)제가 중장기적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다섯째, 자유학기(년)제 관련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연수를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untries that are implementing policies similar to the free semester (year) system(FSS) are solving this problem and to draw im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framework of the FSS, and to what extent can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r unit schools organize and operate the FSS?”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fine clearly the direction of the FSS in connection with the course content. Second, measures to avoid duplication between activities related to the FS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ich a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solution to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free semester (year) activities and subject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fine more clearly the connection with subject content. Third, when the FSS is fully expanded from the linked semester or free year system, the non-execution of the paper-based test stipulated in the FSS must be done in the year, not the semester, and at this time, Institutional arrangements need to be established. Fourth, 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upported so that the FSS can achieve its intended purpose in the mid- to long-term. Fifth,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operate free semester (year) related training for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자유학기제 국제 사례 분석
Ⅲ. 각국 사례가 주는 시사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분석
- 대학등록금 규제정책이후 국립대학 유형별 질적 변화 분석
- 유치원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자유학년(기)제의 패러독스 현상 분석
- 초등돌봄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코로나19 전후 중학생의 학습몰입이 학업성취에 미친 영향 분석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대정부 정책참여 활동에 관한 고찰
- 교육자치와 통합기구로서의 독일 교육문화부장관회의(KMK)와 한국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의 비교·분석
- 교육활동 침해 예방 및 보호 정책의 우선순위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특수학교 설립갈등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자유학기(년)제 국제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